기저(Basis)는 vector space 또는 function space 에서 모든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독립적인 요소 집합
(vector set or function set).
- Basis (기저)는 벡터 공간 (또는 함수 공간)의 구조와 차원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
- 기저들의 선형 결합을 통해 공간의 모든 요소를 표현할 수 있음.
Basis 의 조건
Basis 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함.
- 선형 독립성(Linear Independence):
- 기저 벡터 집합의 각 벡터는 다른 벡터들의 선형 결합으로 나타낼 수 없어야 함.
- 즉, 모든 기저 벡터가 서로 독립적.
- 벡터 공간을 생성(Span):
- basis들의 선형 결합으로 벡터 공간의 모든 벡터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벡터 공간을 생성(span)한다고 하며,
- basis를 통해 전체 공간을 커버할 수 있음.
선호되는 basis(기저)의 특징: 직교성(Orthogonality)
Basis는 일반적으로 직교성(orthogonality)을 가진 벡터(or Function)들로 구성하는 것이 선호됨.
직교 기저(orthogonal basis)란 각 basis가 서로 직교하여 inner product가 0이 되는 basis임.
Orthogonal basis를 사용할 때의 장점은 다음과 같음.
- 계산의 단순화:
- 직교 기저는 basis 간의 내적이 0이므로, 특정 방향의 성분을 쉽게 계산할 수 있음.
- 이를 통해 좌표 변환, 투영 등 다양한 계산이 단순화됨.
- 정규 직교 기저(Orthonormal Basis):
- 직교 기저에서 각 벡터의 norm이 1이라면, 이를 정규 직교 기저 (Orthonormal Basis)라고 부름.
- 정규 직교 기저는 벡터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변환을 수행할 수 있어, 길이 계산이나 분산 분석에 유리.
- 해석의 용이성:
- 직교 기저를 사용하면 벡터 공간을 이해하기 쉽고, 벡터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주성분 분석(PCA)에서 직교 기저를 통해 데이터의 분산이 최대가 되는 축을 찾아냄.
- 직교 기저를 사용하면 벡터 공간을 이해하기 쉽고, 벡터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음.
예시: 데카르트 좌표계에서의 기저
2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R}^2$에서는 표준 기저(Standard Basis)가 사용되며, 이 basis는 각각의 좌표축 방향을 나타내는 두 벡터로 구성됨.
- 표준 기저 벡터:
$$
\mathbf{e}_1 = \begin{bmatrix} 1 \ 0 \end{bmatrix}, \quad \mathbf{e}_2 = \begin{bmatrix} 0 \ 1 \end{bmatrix}
$$
이 경우, 벡터 $\mathbf{v} = \begin{bmatrix} x \ y \end{bmatrix}$를 표준 기저 벡터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mathbf{v} = x \mathbf{e}_1 + y \mathbf{e}_2
$$
여기서 $x$와 $y$는 각각 벡터 $\mathbf{v}$의 $\mathbf{e}_1$ 방향과 $\mathbf{e}_2$ 방향의 component임.
이 표준 기저는 직교하며, 서로 독립적이므로 벡터 공간 ( $\mathbb{R}^2$ )의 모든 벡터를 표현할 수 있음.
Basis와 차원
기저 벡터의 개수는 벡터 공간의 차원을 나타냄.
- 예를 들어, 2차원 공간에서는 두 개의 기저 벡터가 필요하고,
- 3차원 공간에서는 세 개의 기저 벡터가 필요함.
즉 차원(dimension)은 해당 벡터 공간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벡터 개수에 해당함.
Basis의 활용
기저는 벡터 공간에서 벡터를 표현하거나, 좌표 변환을 수행하는 데 사용됨.
대표적인 활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성분 분석(PCA): 데이터의 분산이 최대인 방향을 기준으로 새로운 직교 기저를 만들어 차원을 축소.
- 푸리에 변환: 사인 및 코사인 함수들을 정규 직교 기저로 사용하여 주기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
- 좌표 변환: 물체의 회전, 이동을 포함한 변환을 수행할 때, 새로운 기저를 정의해 벡터들을 변환된 좌표계에서 표현할 수 있음.
같이보면 좋은 자료들
...
'... >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h] 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0) | 2024.11.22 |
---|---|
[Math] Inner Product (or Hermitian Inner Product, 내적) (5) | 2024.10.28 |
[Statistics] Tail, Head, and Distribution (w/ Moment) (0) | 2024.09.26 |
[Math] Algebraic Properties (0) | 2024.07.20 |
[Math] Identity (항등원) and Inverse (역원)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