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Quality 관련 정량화 지표들
다음은 Image Restoration등에서 사용되는 Image Quality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임.
(image acquisition에 사용된 장비의 성능의 비교에도 사용됨)
참고로 이 문서에서 다룬 지표들과 달리 ideal image가 존재하는 경우엔
해당 ideal image와의 비교를 통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정량화하는 경우도 있음.
이들 지표들에 대해선 다음 URL를 참고.
https://dsaint31.me/mkdocs_site/DIP/cv2/etc/dip_metrics/
BME228
Metrics for Image Quality Image restoration의 경우, image degradation의 원인을 modeling하고 해당 model을 통해 ideal image에 가깝게 복원하는 것을 의미함. 주관적인 화질을 개선하는 image enhancement와 달리, image resto
dsaint31.me
Spatial Resolution 관련 정량지표
Spaitla Resolution (공간 해상도) 는 image 의 세부 사항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냄.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closely spaced elements of detail.
일반적으로 단위 면적당 픽셀 수가 많을수록 세부 정보의 표현이 더욱 선명해짐.
Line Pairs per Milimeters (lp/mm)
2022.09.26 - [Programming/DIP] - [DIP] Line pairs per milimeters and Bar phantom
[DIP] Line pairs per milimeters and Bar phantom
lp/mm (line pairs per milimeters)는 영상 시스템의 spatial resolution(공간해상도)를 나타내는 일종의 metric임. spatial frequency가 $mm^{-1}$이므로 lp/mm은 spatial frequncy로 영상시스템의 공간해상도를 나타냄. $mm$로
dsaint31.tistory.com
Full-Width-Half-Maximum (FWHM)
2022.09.26 - [Programming/DIP] - [DIP] FWHM
[DIP] FWHM
특정 영상 시스템의 PSF 혹은 LSF 가 주어진 경우, 해당 시스템의 spatial resolution(공간 해상도)는 PSF 혹은 LSF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로 표시된다. 쉽게 보면, FWHM은 2개의 점 혹은 선이 떨어져 있
dsaint31.tistory.com
참고로 MTF를 통해 spatial resolution을 정량화하여 비교할 수도 있음.
단, MTF는 contrast와 보다 관련이 깊은 편이다. MTF는 아래 contrast 관련 파트에서 modulation 관련 URL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룸.
Contrast 관련 정량지표
이미지의 pixel (또는 ROI)이 가질 수 있는 여러 다른 값들이 얼마나 확실하게 다르게 나타내어지는지 정도를 contrast라고 한다.
값이 다른 pixel이 얼마나 확실하게 다르게 보이는지를 의미하며,
- contrast가 좋을 경우 다른 값을 가져야하는 pixel이 보다 더 확실하게 다르게 보이는 것을 의미함.
- 같은 조직이라도 어떤 질환이 있거나 상태가 다른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 다른 pixel intensity를 가지며, 보다 큰 값의 차이를 보일수록 contrast가 좋다고 할 수 있음.
다음으로도 정의 가능함.
Contrast refers to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intensity of an object and
surrounding objects or background.
Modulation
특정 signal (or image)의 contrast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값 (전체를 다 고려).
2022.09.26 - [Programming/DIP] - [DIP]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and Contrast
[DIP]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and Contrast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MTF can be defined as the magnitude of the Fourier transform of the point or line spread function. 입력신호가 어떤 장치-시스템을 통과하고 난 후 그 물리적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
dsaint31.tistory.com
Local contrast
영상 전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Modulation과 달리 특정지역의 contrast를 정량화.
2022.09.26 - [Programming/DIP] - [DIP] Local Contrast
[DIP] Local Contrast
Local constrast의 수식은 다음과 같다. $$C=\frac{I_t-I_b}{I_b}$$ $I_t$ : Target의 intensity값. (흔히 Region of Interest를 이용하여 분석되며, 해당 영역에 속하는 모든 pixel intensity의 mean) $I_b$ : Background의 intensity. (t
dsaint31.tistory.com
Signal-to-Noise Ratio (SNR)
이미지의 신호대잡음비(SNR)는 어떤 영상이 정량적으로 좋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임.
영상을 일종의 random variable들의 모음(collection of random variables)이라고 볼 경우,
해당 random variable은 두가지 component, (true) signal ($f$)와 noise($N$)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음.
(true) signal은 보통 deterministic (=non-random)이며 영상에서 나타내고자하는 값이며,
noise는 일종의 random fluctuation으로 측정 등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에러라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영상은 (true) signal에 가까울수록 좋은 영상이다.
2022.09.26 - [Programming/DIP] - [DIP] Signal to Noise : Amplitude, Power, and Differential SNR
[DIP] Signal to Noise : Amplitude, Power, and Differential SNR
Amplitude SNR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SNR. signal 의 amplitude와 noise의 amplitude의 ratio. $$\text{SNR}_a=\frac{\text{Amplitude(S)}}{\text{Amplitude(N)}}$$ $S$ : signal. $N$ : noise 주의할 점은 무엇을 signal로 볼지, noise로 볼지는
dsaint31.tistory.com
참고할 것은 PSNR (Peak SNR)의 경우, ideal image와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를 나타내는데 많이 사용된다.
https://dsaint31.me/mkdocs_site/DIP/cv2/etc/dip_metrics/#peak-signal-to-noise-ratio-psnr
BME228
Metrics for Image Quality Image restoration의 경우, image degradation의 원인을 modeling하고 해당 model을 통해 ideal image에 가깝게 복원하는 것을 의미함. 주관적인 화질을 개선하는 image enhancement와 달리, image resto
dsaint31.me
'Programming > D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CV] cornerSubPix : 코너 검출 정확도 향상 (0) | 2024.06.12 |
---|---|
[DIP] functional plot and image plot. (0) | 2024.01.21 |
[DIP] Function plot and Image display (0) | 2023.09.26 |
[DIP] Radial distortion : barrel and pincushion distortions (0) | 2023.09.26 |
[DIP] Basic Operations (on a binary image) for Morphological Operations (0)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