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ctor check
·
.../Physics
Check NumPy Version import numpy as np np.__version__ 1. 다음에 언급된 Physical Quantity들이 scalar인지 vector인지 고르시오. $20 \text{m}^2$의 넓이 : scalar $10 N$의 힘 : vector 2. 다음 벡터의 L2-Norm(크기)을 구하시오 $\vec{a} = \langle1,0,2\rangle$ $\vec{b}=\langle0,3\rangle$ vec = [[1,0,2],[0,3,0]] L2_norm = np.linalg.norm(vec,axis=1,ord=2) print('2-1:',L2_norm[0],'|np.sqrt(5)',np.sqrt(5)) print('2-2:',L2_norm[1]) 3. 다음을 계산하시..
[Physics] Terminal Velocity and Differential Equation
·
.../Physics
빗방울의 종단속도(terminal velocity) 빗방울 낙하는 free-fall이 아님 = Air drag존재. 중력에 대해, 크게 2가지의 저항력이 있음. 마찰 저항 : 물방울 표면적이 둘러싸고 있는 공기와 접촉으로 인해 떨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 점성저항 이라고도 불림. 압축 저항 : 물방울이 떨어질 때 물방울 밑에 있는 공기들이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해하는것. 종단속도는 이 2개의 저항력과 중력을 고려하여 계산 가능. 2가지 방법( differential equation과 힘의 평형을 이용한 방법)으로 풀 수 있는데, 전자(de)는 종단 속도 뿐 아니라 시간당 빗방울의 속도함수를 구할 수 있음. 즉, 3개의 힘이 작용함. 중력 마찰저항 ($\propto v_\text{fall}$)..
[Physics] 정지거리 계산에 사용되는 공식 유도.
·
.../Physics
정지거리 계산에 사용된 다음의 공식 유도하기.(단, acceleration $a$는 상수임.) $$ v(t)^{ 2 }-v(0)^{ 2 }=2ad $$ 등가속도에서 시간 $t$에서의 속도는 다음과 같음 $$ v(t)=v(0)+at $$ 그리고, 등가속도에서 평균 속도는 다음과 같음. $$ v_\text{mean}=\dfrac{v(t)+v(0)}{2} $$ 위의 식으로부터 평균 속도로 $t$만큼 간 거리는 다음과 같음. $$\begin{aligned} d &=v_\text{ mean }t \\ &=\frac { v(t)+v(0) }{ 2 } t \\ &=\frac { v(0)+at+v(0) }{ 2 } t \\ &=\frac { 2v(0)+at }{ 2 } t \\ &=\left\{ v(0)+\frac {..
[History of Science] Aristotle’s Mechanics
·
.../Physics
Aristotle’s Mechanics 모든 운동엔 원인(mover)이 존재 (운동지속을 위해 힘이 계속 작용해야함) mover가 움직이는 물체 내부에서 있는가 외부에 있는가에 따라 운동을 구분. 자연운동 (natural motion) 강제운동 (violent motion) 천상(supralunar)와 지상(sublunar)로 구분하여 운동을 파악 supralunar (불변, 완전, 영원, 등속원운동, aether로 구성) sublunar (변화, 불완전, 생성소멸, 직선운동, 4원소) 물질의 상태변화(씨앗에서 나무가 되는 변화)도 운동에 포함시킴. 비존재, 가능태, 현실태 로 구분하여 가능태(씨앗)에서 현실태(나무)로 변화는 자연스런 운동이라고 생각! 물질의 운동과 변화의 원인을 중시하고, 이를 4가지..
[Physics] 역학의 발전사 : 뉴턴의 제1운동법칙
·
.../Physics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자, 384-322 BC) 우주의 모든 물체는 자신의 구성요소에 맞는 위치에 위치하려는 성질(nature)을 가짐. 우주의 중심에 지구(흙)이 존재. 그 위에 물,공기,불 의 순서로 위치를 가짐. 이들의 위는 천계 (supralunar)로서 aether(quintessence) 로 구성된 별 등이 위치함(달의 천구(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도는 경로라고 볼 것)가 천계와 지상(sublunar)의 경계). 위 동영상의 초반부(~2:16) : Aristotle 관한 내용. 위 동영상의 중반부(2:48~5:21) : 갈릴레이의 관성의 법칙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 (summary) 자연적인 운동(natural motion): 자신의 구성요소에 맞는 위치로 가려는..
측정치에서 유효숫자 확인 및 과학적 표기법 (Scientific Notatoin)
·
.../Physics
Significant figures (유효숫자) 모든 측정값은 근본적으로 근사값 임. 측정의 정확도에 한계(즉 오차가 존재)가 있기 때문에, 해당 오차보다 작은 수의 기재는 아무 의미가 없음. 즉, 유효한 (효력을 가지는) 수만을 표시해야 하며, 이를 significant figures(유효숫자) 라고 함. 단, significant figure의 마지막 자리의 수는 uncetainty 를 가짐. 유효숫자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은 정확도를 가짐. Significant figures (유효숫자) 확인법 측정치의 모든 자리 숫자들 중 0이 아닌 수들은 모두 유효숫자임. 0 인 경우에도 다음의 경우엔 유효숫자임. 0이 아닌 숫자들로 둘러싸인 0은 유효숫자 : ex) 107.35는 유효숫자가 5개임. 소수점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