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ignificant figures (유효숫자)
- 모든 측정값은 근본적으로 근사값 임.
- 측정의 정확도에 한계(즉 오차가 존재)가 있기 때문에, 해당 오차보다 작은 수의 기재는 아무 의미가 없음.
- 즉, 유효한 (효력을 가지는) 수만을 표시해야 하며, 이를 significant figures(유효숫자) 라고 함.
- 단, significant figure의 마지막 자리의 수는 uncetainty 를 가짐.
- 유효숫자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은 정확도를 가짐.
Significant figures (유효숫자) 확인법
- 측정치의 모든 자리 숫자들 중 0이 아닌 수들은 모두 유효숫자임.
- 0 인 경우에도 다음의 경우엔 유효숫자임.
- 0이 아닌 숫자들로 둘러싸인 0은 유효숫자 : ex)
107.35
는 유효숫자가 5개임. - 소수점 아래의 끝자리에 있는 0은 유효숫자임 : ex)
120.00
도 유효숫자가 5개임.- 단,
0.000
과 같이 모든 자리의 숫자가 0인 경우에는 유효숫자가 없음.
- 단,
- 0이 아닌 숫자들로 둘러싸인 0은 유효숫자 : ex)
주의 : 0
0 인 경우, 유효숫자 여부를 주의해야 함.
다음의 경우를 조심.
- 자리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0 들은 유효숫자가 아님. ex)
0.0001
에서 유효숫자는 마지막 1뿐임.1200
에서 뒤의 두 개의 0이 단순히 자리수 표시를 위해 사용된 경우라면 유효숫자가 아님.
- 소수점 이 표기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순 자리수를 표시를 위한 0 인지 여부를 알기 어려움. 즉,
1200
이 정확히 1200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1160에서 반올림 된 결과인지 구분할 수 없음.
위와 같이 자리수 표시를 위한 0의 모호성 으로 인해 Scientific notation(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하는게 권장됨.1200
에서 모든 0들이 유효숫자인 경우, 다음과 같이 표기됨 $$1.200 \times 10^3$$
주의 : 과학적 상수
- 빛의 속도나 아보가드로 수 등의 과학적 상수의 경우, 유효숫자가 무한대로 간주됨.
- 때문에 측정치와 해당 상수들의 대수적 연산을 할 때, 사용된 측정치의 유효숫자 범위가 변화 없음.
연산 :
측정치들 간의 연산 결과의 유효숫자는 해당 연산에 참여한 측정치 중 가장 부정확한 수의 유효숫자 갯수로 정해짐.
$$4.5 + 0.3352 = 4.8352 = 4.8$$ $$4.5 \times 0.3352 = 1.5084 = 1.5$$ $$83. \div 8.67 = 9.57324106 = 9.6$$
- 가장 작은 유효숫자의 자리수에 맞추어 연산결과의 유효숫자 갯수를 정하고, 해당 자리의 결과치로 반올림을 통해 구함.
- 과학적 상수는 유효숫자를 무한대 갯수로 간주하므로 계산 결과의 유효숫자 수에 영향을 주지 않음.
Scientific Notation
$$ x \times 10^y = x \text{ E}y$$
- $x$는 $1$ 이상 $10$ 미만이어야 함.
- $y$는 $0$이 아닌 integer(정수).
- 10의 거듭제곱 부분을 구분하기 위한 $\text{E}$는 $\text{e}$로도 많이 사용됨 (지수를 뜻하는 exponent의 머리글자).
Example
자신의 키가 170cm 라고 애기할 때, 발생가능한 uncertainty는
- 실제 키 166cm 에서 반올림 하여 170cm 인지
- 실제 키 170.3cm 에서 반올림 하여 170cm 인지
- 실제 키 174cm 에서 반올림 하여 170cm 인지
라고 할 수 있음.
이 같은 경우, scientific notation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하면 위의 uncertainty가 줄어들게 됨.
$$ 1.700 \times 10^2 \text{cm} $$
이경우, 170까지는 정말 확실하지만 마지막 유효숫자인 0.0cm는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즉, 170cm의 눈금위에 거의 일치하게 측정된 경우임을 의미함.
- $1.700 \times 10^2 \text{cm}$ : 0.1cm 의 정확도
- $1.70 \times 10^2 \text{cm}$ : 1cm 의 정확도
만일, 측정도구의 눈금이 0.5mm 단위인 경우, 위의 2가지 중 $1.70 \times 10^2$가 보다 적합함.
반응형
'... > Phy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story of Science] Aristotle’s Mechanics (0) | 2022.03.14 |
---|---|
[Physics] 역학의 발전사 : 뉴턴의 제1운동법칙 (0) | 2022.03.14 |
Syllabus: 물리 2021 (0) | 2022.03.07 |
방사선 관련 단위 (물질과 상호작용) (0) | 2009.08.12 |
[Physics] 물리량의 단위 (0) | 200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