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 Function (해석함수)
An analytic function is a function that is
locally given by a convergent power series (수렴하는 멱급수).
There exist both real analytic functions and complex analytic functions.
Analytic Function은 간단히 말하면
“무한번 미분가능(smooth)하고 국소적으로 멱급수(power series)로 수렴"되는
Function 임.
- Absolute Value (절대값)은 Analytic Function이 아닌 함수의 대표적 예임.
◀ 0에서 함수가 analytic하지 못함
◀0을 Singular point(특이점)이라고 부름. - 위의 표현은 “Lagrange의 정의”를 기반으로 표현한 것임.
Analysis(해석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지는데, 실해석학과 복소해석학에서 조금 차이가 있다.
- 위의 정의는 실수함수의 경우이며, 복소수인 경우 좀더 간단해진다.
복소수에선 미분가능하면 그냥 analytic function이 된다
(이 경우를 holomorphic이라고 칭하기도 함: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하는지로 판단).
복소해석학에서
특정 점 p의 neighbor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것은
무한히 미분가능함(=smooth function)을 보장하고,
동시에 해석적이라는 개념과 동치임.
위의 내용은 실수함수에선 성립하지 않는다.
주의할 것.
수학적 정의
실수로 한정할 경우 (real function으로 한정) 정의는 다음과 같음.
어떤 함수 f(x)가 점 x=a에서 (무한번) 미분 가능(smooth)하고,
임의의 양수 ϵ에 대하여 |x−a|<ϵ 가 되는 점들의 집합을
'a의 neighbor(근방)' (a−ϵ,a+ϵ) 이라고 할 때,
f(x)가 x=a 근방에서의 함숫값과 x=a에서의 함수값을
Tayler series 같은 power series(멱급수)로 표현할 수 있을 때 (당연히 power series는 수렴해야 함),
f(x)가x=a에서 '해석적(analytic)' 이라고 한다.
위의 power series는 다음 수식과 같고, 이는 (a−ϵ,a+ϵ) 구간에서 f(x)로 수렴함.
∞∑n=0wn(x−a)n=w0+w1(x−a)+w2(x−a)2+…=∞∑n=0f(n)(a)n!(x−a)n
- f(n): n-th order derivative of f.
- 두번째 줄의 식이 바로 Taylor Series임.
또한 Uniqueness Theorem(유일성 정리)에 의해
- 해당하는 power series가 f(x)로 수렴한다면,
- 이는 반드시 유일하며, Tayler Series와 같다.
그리고,
모든 domain에 대해 analytic한 function을 가르켜
Analytic function이라고 함.
장점
Analytic function의 경우 아무리 복잡한 형태라도
- 특정 point a에서의 function value만 측정할 수 있다면,
- Taylor expansion으로 일종의 polynomial expression으로 approximation이 가능함.
읽어보면 좋은 자료들
2023.02.27 - [.../Math] - [Math] Taylor Expansion and Taylor Theorem (테일러 전개)
[Math] Taylor Expansion and Taylor Theorem (테일러 전개)
Taylor Expansion 어떤 function f(x)을 어떤 point a에서의 값과 derivative들을 이용하여 polynomial(다항식) p(x)으로 approximation(근사)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로 Taylor's Expansion이라고 함. 복잡한 function 의
dsaint31.tistory.com
다음은 정말 좋은 자료임 (꼭 읽어볼 것)
https://gosamy.tistory.com/115
테일러 급수와 해석함수 (Analytic function with Taylor series)
해석함수는 과연 해석학(解析學, Analysis)의 보배이며, 1등급 최정예 함수라 할 수 있습니다. 해석학이 무엇일까요? 그 뜻은 의외로 영단어보다 한자를 보는 것이 더 좋은데, 쪼개어(析) 푼다(解)를
gosamy.tistory.com
위의 "단수이낭만상점" 의 페이지가 끊길 경우 다음을 참고 (가급적 위의 URL로 가서 볼 것.).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ovetaehong&logNo=130095655299
해석적인 함수란?
지식인에 답변한 내용입니다. 다음에 이와 관련한 자세한 글을 쓰기 위해 잠시 붙여 둡니다. ^...
blog.naver.com
2024.02.26 - [.../Math] - [Math] Function의 분류: 작성중
[Math] Function의 분류: 작성중
1. Elementary Functions and Special FunctionsFunction은 크게"Elementary Functions"와"Special Functions"로 나뉜다.기본적인 수학 연산 등에서 활용되는 Elementary Functions에 대해서는 보다 세분화된 분류를 이해하는 게
dsaint31.tistory.com
'... >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h] interval (구간) (0) | 2024.02.27 |
---|---|
[Math] Limit of Scalar Function: Left-Sided Limit and Right-Sided Limit (0) | 2024.02.27 |
[Math] Inverse Function: Inverse vs. Reciprocal (0) | 2024.02.26 |
[Math] Trigonometric Functions (1) | 2024.02.26 |
[Math]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1)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