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Math] Definition, Proposition, Axiom, and Theorem
·
.../Math
Definition (정의)용어 등의 뜻을 명확하게 정한 것.용어 등에 대한 약속이므로 증명할 필요가 없음.단, well-defined가 되어야 함.Proposition (명제)참, 거짓을 분명하게 판단할 수 있는 "문장(statement)"이나 "식(expression)". (명확하고 객관적이어야 함.)Proposition은 참(True)과 거짓(False)으로 구분할 수 있는 statement의 추상적인 form이라고도 볼 수 있음.때문에 statement라고도 쓰이는 경우가 있음.statement는 proposition보다 넓은 general term 임.일상적 범용적 문맥에서도 statement는 사용되며 단, 이 경우에는 참, 거짓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을 수도 있음: statementstate..
[Math] 수(Number)의 종류
·
.../Math
Number의 종류는 다음과 같고, 이들은 각각 set을 이룸.2024.02.25 - [.../Math] - [Math] Class: set and proper class (클래스와 집합) [Math] Class: set and proper class (클래스와 집합)Class, Proper Class, and SetClass집합론 (Zermelo-Fraenkel set theory)에서Class는 구별가능한 수학적인 객체 (distinctive object)의 collection을 의미함.(Set은 collection of distinctive objects라고 말할 수 있으나, 여기에 well-dsaint31.tistory.comNatural number자연수 (= 양(positive)의 정수)기호 ..
[Math]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
·
.../Math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명제 (proposition)을 다룰 때 자주 나오는 애기임.명제 (proposition)이란?참(True)이나 거짓(False)를 판별할 수 있는 식(expression)이나 문장(statment).conditional proposition(조건명제)가필요조건, 충분조건, 및 필요충분조건 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되며논리학 또는 기초 수학에서 흔히 보임:premise(전제)와 conclusion(결론)의 두 집합간의 포함관계를 나타냄.conditional proposition은 Implication(함의) 라고도 불리며,premise가 참이면 conclusiont도 참이라는 논리적 관계로 if-then으로 자주 표기됨.p, premise(전제) 와 q, conclu..
[Math] Vector (2) : Vector Function
·
.../Math
Definition of Vector Function A vector function is simply a function whose codomain(공역) is Rn. In other words, rather than taking on real values, it takes on vector values. We will often use the notation v=v(t) to denote a vector function. Note: 일반적으로 vector function은 많은 책에서 r(t) 로 표현됨. 이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begin{aligned} \vec{v} &= \vec{v}(t) \\ &=\te..
카이스퀘어 테스트(Pearson's Chi-square test)
·
정리필요./방사선 계측
다음의 경우에 사용됨 독립성검정 : 두 요인 간에 관계가 있는지 적합성검정 : 관측결과가 특정한 분포로부터의 관측값인지 동질성검정 : 구분된 여러 집단이 동일한 분포를 하는지 χ2=(EO)2E where E : 기대값 O : 관측값 자유도 = 변수에 속한 집단의 수 (=category 또는 class의 수) - 1 독립성검정 다음의 예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통계자료를 볼 때 _학력_과 _결혼생활의 행복_이 관련이 있는가? (두 요인 간의 관련성 체크)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독립성검정"이 제공한다. (독립적이라면 관련이 없는 것이 됨.) 초등학교 졸업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계 행복함 72 (53.435)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