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s] Interaction : Photo-electric Effect (광전효과)

2022. 5. 17. 20:32·.../Physics
728x90
728x90

Photoelectric effect(광전효과)의 경우,

  • Photoelectron 
    더보기
    X-ray 혹은 γ선의 photon이 가진 모든 energy를 소모하여, 전자궤도(주로 핵에 가까운 K-shell)돌던 전자를 photoelectron으로 만듦(=해당 전자를 궤도에서 탈출시킴) : 이때 photoelectron이 갖는 최대 운동 E는 X-ray 혹은 γ선의 photon이 가졌던 에너지에서 전자결합에너지를 뺀 값이 됨.
  • Characteristic X-ray or Auger electron 
    더보기
    phtoelectron 발생은 원자의 낮은 준위(=안쪽 전자궤도, 주로 K-shell)에 빈 자리(정공, hole)를 남기기 때문에 높은 준위(바깥쪽 전자궤도)의 전자가 해당 빈 자리를 채우게 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됨 : 이 때 높은 준위와 낮은 준위의 결합에너지 차이 만큼의 energy가 characteristic X-ray 로 나오게 됨. 이 characteristic X-ray는 다른 전자궤도(주로 바깥쪽)의 전자를 추가로 방출 시킬 수도 있으며 이 때 방출된 전자를 Auger(오제) electron이라고 부름.

이 발생함.

 

방사선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그림. Photoelectric effect는 B에 해당함.

검출기에서의 interaction으로 한정지어 생각하면, 입사한 photon의 모든 에너지가 흡수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해당 검출기의 energy spectrum에서 photoelectric peak (=전흡수 피크)를 만들게 됨.

  • Photoelectron과 Auger electron 모두 하전입자이고 낮은 kinetic energy를 가지기 때문에 멀리 이동하기 어려움 : 검출기나 인체에서의 interaction으로 발생한 경우, 주변에서 다시 흡수되게 됨 (즉, 전부 흡수됨.)
  • Characteristic X-ray의 경우, 전자기파의 특성상 멀리 이동이 가능 : 즉, 검출기에서 빠져나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characteristic X-ray escape peak가 해당 검출기의 energy spectrum에서 보임 (이 경우엔 전흡수가 아니며, 주로 K-shell의 결합E만큼 전흡수 peak에서 떨어져서 escape peak가 발생.).

 

흔히, Compton scattering가 Photoelectric effect는 경쟁적으로 발생하게 됨. (photon이 어느 준위의 전자와 상호작용했느냐에 따름.)

  • 낮은 energy photon에선 Photoelectric effect가 보다 많이 발생.
  • energy가 커질수록 compton scattering이 증가하게 됨.

Dominant photon/matter interactions according to atomic number (Z) and photon energy. , S Yip. 22.101 Applied Nuclear Physics, Fall 20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OpenCourseWare ( http://ocw.mit.edu )

1,022 keV 보다 작은 energy의 photon에서는 pair-production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발생하는 interacton은 이 둘 중에 하나임 (Rayliegh scattering 제외)

  • 진단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1,022keV를 넘는 경우 없다고 봐도 됨.

선원 주변의 차폐제 등과 반응

차폐제와 광전효과 일으켜 발생한 특정 X선이 검출기로 들어와 측정되는 경우도 있음. 이 경우, 특정 X선 peak가 낮은 E대에 발생함. (차폐제 등의 물질의 K-shell의 결합E 정도.)

'... > Phy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ysics] Interaction : Coherent Scattering (or Rayleign Scattering)  (0) 2022.05.17
[Physics] Interaction : Compton Scattering (Compton Effect)  (0) 2022.05.17
[Physics] 제2우주속도 & 제3우주속도 (Escape speed)  (0) 2022.05.16
[Physics] 제1우주속도  (0) 2022.05.16
[Physics] Kepler 2nd Law (케플러의 제2법칙)  (0) 2022.05.16
'.../Phy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hysics] Interaction : Coherent Scattering (or Rayleign Scattering)
  • [Physics] Interaction : Compton Scattering (Compton Effect)
  • [Physics] 제2우주속도 & 제3우주속도 (Escape speed)
  • [Physics] 제1우주속도
dsaint31x
dsaint31x
    반응형
    250x250
  • dsaint31x
    Dsaint31's blog
    dsaint31x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38)
      • Private Life (13)
      • Programming (186)
        • DIP (104)
        • ML (26)
      • Computer (118)
        • CE (52)
        • ETC (33)
        • CUDA (3)
        • Blog, Markdown, Latex (4)
        • Linux (9)
      • ... (349)
        • Signals and Systems (103)
        • Math (170)
        • Linear Algebra (33)
        • Physics (42)
        • 인성세미나 (1)
      • 정리필요. (54)
        • 의료기기의 이해 (6)
        • PET, MRI and so on. (1)
        • PET Study 2009 (1)
        • 방사선 장해방호 (4)
        • 방사선 생물학 (3)
        • 방사선 계측 (9)
        • 기타 방사능관련 (3)
        • 고시 (9)
        • 정리 (18)
      • RI (0)
      • 원자력,방사능 관련법 (2)
  • 블로그 메뉴

    • Math
    • Programming
    • SS
    • DIP
  • 링크

    • Convex Optimization For All
  • 공지사항

    • Test
    • PET Study 2009
    • 기타 방사능관련.
  • 인기 글

  • 태그

    Term
    signals_and_systems
    Python
    Vector
    random
    linear algebra
    SS
    인허가제도
    Optimization
    math
    fourier transform
    Probability
    numpy
    검사
    SIGNAL
    Convolution
    signal_and_system
    opencv
    function
    Programming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dsaint31x
[Physics] Interaction : Photo-electric Effect (광전효과)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