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ignal : SIGINT
·
Computer/CE
0. SIGINT 란?Ctrl+c 를 누를 때 발생하는 Signal:interrupt를 발생시킴: SIGINT현재 terminal 에서 fore-ground로 동작하는 process (보통 현재 실행 중인 shell script)를interrupt 시켜 강제 종료시키는데 주로 사용됨.Signal :Process 단위로 동작하는 비동기적 이벤트 처리 메커니즘 으로서OS를 통해 하나의 process에서 다른 process로 보내짐.실행 중인 process에게 특정 동작을 지시하는 등으로 동작하며Signal의 종류에 따라 process에게 요구하는 동작이 다름.process간 비동기적 통신이나 비동기 event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용됨. kill -l을 통해 사용가능한 system signal의 종류를 확인할..
[CE] URL, URI and UNC
·
Computer/CE
URI or URL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abbreviation 이고,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abbreviation임. 인터넷 또는 WAN 상에서 특정 resource(HTML, 이미지, 동영상 등을 resource라고 지칭함)에 접근할 목적으로 해당 resource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text string. 특정한 구조를 가짐 scheme://host/path https://gachon.ac.kr/home/index.html scheme 는 해당 자원에 접근하는데 사용할 protocol을 지정한다. 위의 예에서 사용한 https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secure모드로 사용한다는 의미임...
[CE] Ex : 2's complement
·
Computer/CE
다음 문제들은 8bit 의 binary로 2's complement사용한 예제들이다. 1 $$ 26-15 = 26 + (-15) = 0001 1010_2 + 1111 0001_2 = 10000 1011_2 $$ 10000 1011에서 MSB의 carryout을 버리면 0000 1011이 된다. 이는 $8+2+1=11$ 에 해당함. 2 $$ -31-6 = (-31) + (-6) = 1110 0001_2 + 1111 1010_2 = 11101 1011_2 $$ 11101 1011에서 MSB의 carryout을 버리면 1101 1011이 된다. 이는 $-37$ 에 해당함. 3 $$ 144 – 156 = 144 + (-156) = 1001 0000_2 + 0110 0100_2 = 1111 0100_2 $$ 11..
[Tip] Chrome Hot Keys
·
Computer/CE
Tab 관리. Chrome의 Tab은 각각의 window 로 분리 가능하며, 각각의 window 로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의 window의 여러 tab으로 합치는 것도 가능함. (마우스 드래그(왼쪽버튼 누른 상태) 를 이용.) 다음은 keyboard shortcut (or hot keys)임. Ctrl+1~8 : 첫번째에서 여덟번째 Tab으로 이동 (그런데 탭이 10개는 족히 넘으면….): macOS에선 ctrl 대신 cmd 임. Ctrl+9 : 맨 오른쪽 Tab으로 이동: macOS에선 ctrl 대신 cmd 임. Ctrl+Tab : 오른쪽으로 Tab 이동 Ctrl+Shift+Tab : 왼쪽으로 Tab 이동 Ctrl+Shift+T : 마지막으로 닫았던 Tab을 다시 오픈(크롬은 최대 10개까지 기억.), ..
Basic Input Output System (BIOS) and CMOS
·
Computer/CE
BIOS 란H/W와 S/W의 중간 형태인 Non-violatile Firmware의 일종 초기에는 ROM에 저장되었으나이후 Flash memory에  주로 저장되면서 Firmware도 update가 가능해짐.현재는 UEFI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임.BIOS 의 역할컴퓨터 부팅 과정에서의 다음의 역할을 담당함. BIOS는 CPU, 메모리, 저장장치, 키보드, 디스플레이 등 하드웨어를 초기화.이 과정을 POST (PowerOn Self Test)라고 부름.저장장치에서 부팅 가능한 장치를 검색하고, 부트로더(or Bootstrap)를 로드함.이 과정에서 BIOS는 저수준 I/O 인터페이스를 제공.예를 들어, 저장장치의 섹터 데이터를 읽거나 ..
[CE] Tree vs. Graph
·
Computer/CE
Graph vs. Tree Graph node와 node를 연결하는 edge로 구성된 data structure(자료구조). object들의 network를 모델링하는데 주로 사용됨. Deep Learning을 가능하게 한 Back-propagation은 Reverse-mode Auto Differentiation에 기반하는데, 이는 Computation Graph을 통해 수행됨. Tree Directed Acyclic Graph 에서, graph 내의 모든 node와 path가 존재하는 root node라는 것이 1개 있는 자료구조. object들의 hierarchy를 모델링하는데 주로 사용됨. Data Structure Data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 stack, queue, g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