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관련 단위 (물질과 상호작용)
·
.../Physics
선형감쇠계수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광자가 단위 길이당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숫자의 감소가 일어날 확률. 실제로 PET에서의 Attenuation Correction (AC)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PET의 주요 보정인자 중 하나임. 물, 또는 Soft-tissue에서 0.096이 주로 사용되나, 뇌에서 tissue는 0.0994 정도로 보다 높다(단위 : $cm^{-1}$) 광자의 2차 반응을 무시한 이상적인 광자빔이 입사시 성립. (이를 narrow beam이라고 함.) $$\begin{aligned}\mu &= \mu_\text{photo-electric} +\mu_\text{compton-scattering} +\mu_\text{pair-production}\..
[Physics] 물리량의 단위
·
.../Physics
SI UnitMKS단위계 : m,kg,scgs단위계 : cm,g,s기본단위 (7개)m (길이), kg (질량), s (시간), A (전류), K (온도), cd (조도, 칸델라), mol (물질의 양)부기본단위 (2개)rad (각도), sr (입체각)유도단위N, J접두어symbolemultiplesymbolmultiplesymbolmultiplec (centi)$10^{-2}$p (pico)$10^{-12}$M (mega)$10^6$m (milli)$10^{-3}$f (femto)$$10^{-15}$$G (giga)$10^9$$\mu$ (micro)$10^{-6}$h (hecto)$10^2$T (tera)$10^{12}$n (nano)$10^{-9}$k (kilo)$10^3$P (peta)$10^{15}..
Radionuclide (방사선핵종) II
·
.../Physics
Po-210 : α선. Pu-239 : α선. H-3 : tritium, 12.3y, 약한 β선(0.0186MeV,일반 서베이메터로 측정이 어려움.), 우주선의해 생성.전신. 액체섬광계수기 Be-7 : 유도방사성천연핵종 C-11 : 20.4m,β+, C-11 -> B-11 N-13 : 9.96m,β+, N-13 -> C-13 C-14 : 5730y,β-선,천연핵종(우주선 의해 생성). 고고학, 연대측정 등. 액체섬광계수기 O-15 : 2.07m,β+, O-15 -> N-15 N-16 : 7.13s, γ선, (6.13MeV) F-18 : 109.7m, β+, F-18 -> O-18 Na-24 : γ선 P-30 : 최초의 인공방사능 P-32 : 14.3일, β- 선 (1.7MeV), 우주선의해 생성. 눈수정..
Radionuclide (방사성핵종)
·
.../Physics
천연 방사성 핵종 반감기가 긴 어미 핵종으로부터 계열 붕괴하는 천연 방사성 핵종. 계열의 시작 원소는 긴 반감기(10^9y이상)가짐. 계열 붕괴 도중 Rn 기체 존재. 최종 안정핵종은 82Pb임. 계열의 분기(branch) 존재. 계열 1차 핵종 1차핵종반감기 최종핵종 토륨 (Thorium) 계열(4n) Th-232 130억y Pb-208 (82) 우라늄 (Uranium) 계열(4n+2) U-238 45억y Pb-206 (82) 악티늄 (Actinium) 계열(4n+3) U-235 7억y Pb-207 (82) 계열 붕괴하지 않는 천연 방사성 핵종 Pb보다 Z가 작다 (Z92 이상인 핵종들)들을 들 수 있음. 43Tc,61Pm,85At,87Fr 4개의 원소의 안정 동위원소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결번 원소라 ..
아보가드로 수, 원자밀도 등
·
.../Physics
아보가드로 가설 기체의 경우, 표준상태(0˚c, 1기압)의 22.4L의 체적 내에 있는 원자(혹은 분자)수가 $6.02\times 10^{23}$. 원자의 질량이 질량수(A)에 해당하는 경우, 원자의 수는 $6.02\times10^{23}$. 모든 원자나 분자 1 mol 속에는 $6.02\times 10^{23}$개의 원자나 분자가 존재한다. 이를 아보가드로 수라고 함. 달리 말하면, 1 mol 이란 어떤 원소나 분자가 해당 원소나 분자의 질량수(mass number)에 해당하는 질량을 가질 때의 갯수를 말함. 원자밀도와 분자밀도 단위체적당 들어있는 원자수 (혹은 분자수) $$ n=\rho \frac{N_A}{A}$$ $N_A$: 아보가드로수 $6.02x10^{23}$ (개/mol) $A$ : 원자량(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