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pness(선예도)은
세부 정보(detail)의 명확성과 질감을
얼마나 잘 나타내는지를 나타내는 주관적인 지표임.
Psychophycial Attribute
Sharpness는 "psychophysical attribute" 또는 "perceptual quality measure"로, 정량적 측정만으로는 완전히 평가하기 어려움.
sharpness에 영향을 주는 두 가지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음.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
- 이미지에서 인지할 수 있는 최소의 세부 정보의 크기를 나타냄.
- 이는 image에서 서로 가까이 있는 세부 요소들을 얼마나 잘 구별할 수 있는지를 의미하며, FWHM등으로 측정됨.
-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세부 정보를 포착할 수 있음.
선명도(Acutance):
- 이미지의 경계선에서 정보가 얼마나 급격하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냄.
- 높은 acutnace는 선명한 전환과 명확하게 정의된 경계를 가진 디테일을 제공함.
Sharpness 에 미치는 영향: Resolution과 Acutance:
다음의 그림은 이 두 요소가 sharpness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함.
- 낮은 공간 해상도와 높은 선명도:
- 제한적인 detail의 제공과 뚜렷한 edge의 존재가 특징.
- 높은 선명도로 인한 이미지의 뚜렷한 대비(contrast)와 명확한 요소 구분을 보여주나
-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상세하지 않은 이미지의 인상을 줄 수 있음.
- 이 조합은 image가 간단한 구성(composition)으로 이루어진 경우, 또는 색상 대조(color contrast)의 강조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함.
- 높은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와 낮은 선명도(Acutance):
- 이 조합은 많은 세부 정보(detail)를 보여주지만,
- 경계선(edge)의 대비가 낮은 것이 특징.
- 결과적으로 세부 정보의 뭉개짐과 경계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전체적인 sharpness의 감소가 발생함.
- 높은 공간 해상도와 높은 선명도:
- 세부 정보(detail)와 edge의 최대 성능 제공.
- 풍부한 텍스처(texture)와 높은 대비(contrast)를 보여줌.
- 즉 이상적인 조합임.
Sharpness의 시각적인 차이:
Sharpness 에 대한 시각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음.
- Low sharpness:
- detail이 흐릿하게 보이고, texture와 pattern이 불분명하게 표현됨.
- edges가 불분명(indistinct)하며, 이미지 전반에 걸쳐 대비가 낮음(low contrast).
- High sharpness:
- detail이 선명하게 보이고, texture와 pattern이 뚜렷하게 드러남.
- edge이 명확하고, 높은 대비(high contrast)를 보임.
주의: 일정 수준의 Noise는 sharpness를 높다고 인식하게 말들 수 있음.
References:
https://www.cambridgeincolour.com/tutorials/sharpness.htm
Tutorials – Sharpness
TUTORIALS: SHARPNESS Sharpness describes the clarity of detail in a photo, and can be a valuable creative tool for emphasizing texture. Proper photographic and post-processing technique can go a long way towards improving sharpness, although sharpness is u
www.cambridgeincolour.com
2023.10.04 - [Programming/DIP] - [DIP] Image Quality 관련 정량화 지표들: Resolution, Contrast, SNR
[DIP] Image Quality 관련 정량화 지표들: Resolution, Contrast, SNR
Image Quality 관련 정량화 지표들다음은 Image Restoration등에서 사용되는 Image Quality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임.(image acquisition에 사용된 장비의 성능의 비교에도 사용됨) 참고로
dsaint31.tistory.com
'Programming > D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P] Hu Moment (2) | 2024.09.10 |
---|---|
[DIP] Tangential Distortion (접선왜곡) (0) | 2024.09.10 |
[CV] Brightness vs. Intensity (+ Gamma Response Function) (0) | 2024.09.05 |
[CV] High Dynamic Range (1) | 2024.09.03 |
[CV] Camera Response Function (+Gamma Correction) (3)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