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Address를 볼 때, 다음과 같이 slash 이후 십진수의 숫자 (아래의 붉은색 부분)가 놓이는 경우가 있음.
192.168.1.10/24
이는 IP Address (IPv4)를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으로 기재한 것이며,
위의 예에서 "/24" 는 바로 subnet mask를 의미하는 비트수임.
"/24"의 경우 왼쪽부터 1의 값을 가지는 비트수가 24bit임을 의미하며, 이는 다음과 같은 subnet mask임.
- 이진수 표기: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십진수 표기: 255.255.255.0
이는 해당 IP Address가 할당된 장비의
- subnet 내의 모든 장비들이 3개의 octets (=24bit)를 공유하고
- 나머지 1개의 octet로 동일 subnet내에서 다른 장비들을 구분함을 의미함.
같이 읽어보면 좋은 자료
2023.01.02 - [Computer/CE] - [CE]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CE]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네트워크 상에서 어떤 한 컴퓨터를 찾아낼 수 있는 주소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목적으로 컴퓨터에게 부여하는 값.)이며 약어로 IP Address로 기재됨. Network 계층 (Layer 3)에서 사용되는
dsaint31.tistory.com
2023.01.17 - [Computer/CE] - [CE] Subnet Mask
[CE] Subnet Mask
정의 Network mask라고도 함. network를 지칭하는 부분은 `255`로, host를 치칭하는 부분은 `0`으로 지정 IP 주소의 어디까지가 network 주소이고 어디서부터 host 주소인지를 알려줌. subnet mask의 Prefix표기 일
dsaint31.tistory.com
'Computer > 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 From Transistor To Gate (0) | 2024.04.03 |
---|---|
[CE] Round-off Error 예제 (1) | 2024.02.17 |
[CE] Subdivision using DFS (0) | 2023.05.24 |
[CE] Stack (0) | 2023.05.23 |
[Linux] Signal : SIGINT (0)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