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네트워크 상의 통신에서, Packet(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Packet(패킷)을 다음 장치로 보내는 장치 또는 S/W를 가르킴.
일종의 길잡이로서 최적의 경로(route)를 찾아서 패킷을 인도하는 역할(router)을 한다.
- OSI 7계층에서 3, 4계층에 속하므로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사용함.
- 패킷의 최적의 경로를 결정 (path determination) → 해당 경로들을 RAM에서 일종의 테이블로 저장함 (routing table)
- 결정된 최적의 경로로 패킷을 전달 (switching)
일반적으로 router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원래는 Gateway의 역할, 차이는 protocol)하고 있기 때문에, router가 Gateway를 겸하는 경우도 많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덕분에 각각의 원래 정의가 헷갈리기 쉬움.)
- Firewall
- Virtual Private Network (VPN)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Switch와 차이점.
- Switch는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만, Router는 Network들을 연결 함.
- Router는 물리적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packet의 최상의 route를 결정하는 반면, switch는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packet을 수신할 컴퓨터를 지정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함
- 참고로 Hub는 네트워크내의 모든 컴퓨터로 전달하지만, switch는 수신할 컴퓨터에만 전달하는 차이점을 가짐
Gateway와 차이점.
- Router는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network를 연결하는 반면,
- Gateway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network도 연결함.
- Gateway는 다른 network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관문임.
다른 장비들 설명과 함께 간략히 나온 문서.
Hub, Switch, Router, 공유기(NAT장비)
Hub LAN을 구성하는 장비. 접속된 장비들(LAN에 속한 장비들) 모두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Switch에 비해 비효율적임. 매우 소규모의 LAN을 구축하는데 사용됨. Switch LAN을 구성하는 장비 (Switchi
dsaint31.tistory.com
https://dsaint31.tistory.com/entry/CE-Gateway
[CE] Gateway
번역하면 관문이다. 여기에서 나타내듯이 gateway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관문의 역할을 하는 장비 또는 S/W를 가르킨다.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기 위해 거쳐야하는 관문 이란 결국 특정 네
dsaint31.tistory.com
반응형
'Computer > 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 Subnet Mask (0) | 2023.01.17 |
---|---|
[CE] Gateway (0) | 2023.01.17 |
[CE] Interrupt 요약 (Computer 기준). (0) | 2023.01.17 |
[CE] Direct Access Storage Device & media (DASD) (0) | 2023.01.13 |
[CE] Optical Disk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