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 Gateway

2023. 1. 17. 18:49·Computer/CE
728x90
728x90

번역하면 관문이다.
여기에서 나타내듯이
gateway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관문의 역할을 하는 장비 또는 S/W를 가르킨다.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기 위해 거쳐야하는 관문 이란

결국 특정 네트워크를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역할을 의미하기 때문에

router를 포함(LAN을 WAN에 연결하는 것이 router임)하는 경우가 대다수임.

  • OSI7 계층에서 gateway는 흔히 5~7계층까지 포함(정확하지 않은 기억이... ㅠㅠ)하나, router는 3계층(고급제품은 layer4까지 커버하기도 함)에 속함.
  • 즉, gateway가 router를 포함한다고 생각하는게 편할 듯.
  • router가 제공하는 dynamic routing을 gateway는 제공하지 않으므로 엄밀하게는 차이가 있으나, 작은 network인 경우, 한 장비에서 이 두가지를 겸하는 경우가 많고 최근의 장비 추세가 이 둘을 겸하도록 제공됨.

위에서는 단순히 Network를 연결해주는 역할로 gateway를 설명했지만, 다른 통신 프로토콜 Network 간의 연결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gateway임.


Example : 인터넷 공유기

일반적으로

  • gateway는 Local area network (LAN)를 Wide area network (WAN)에 연결(← 이는 엄밀하게는 router가 하고 있는 역할로 Layer3에 해당)하고 있으며,
  • 집에서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SK broardband, KT 등)에서 제공한 공유기가 집의 네트워크 (←LAN)의 Gateway가 됨.
  • 다른 protocol의 Network를 연결하는 역할이 Gateway임 (Layer4).

Gateway가 없다면,

결국 LAN 내에서 ip address와 subnet mask만이 있는 상황으로

내부에서만 통신이 될 뿐, 외부 네트워크 (궁극적으로 인터넷)과 연결이 되지 못함.


다른 자료

https://dsaint31.tistory.com/entry/Hub-Switch-Router-%EA%B3%B5%EC%9C%A0%EA%B8%B0NAT%EC%9E%A5%EB%B9%84

 

Hub, Switch, Router, 공유기(NAT장비)

Hub LAN을 구성하는 장비. 접속된 장비들(LAN에 속한 장비들) 모두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Switch에 비해 비효율적임. 매우 소규모의 LAN을 구축하는데 사용됨. Switch LAN을 구성하는 장비 (Switchi

dsaint31.tistory.com

https://dsaint31.tistory.com/entry/CE-Router

 

[CE] Router

네트워크 상의 통신에서, Packet(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Packet(패킷)을 다음 장치로 보내는 장치 또는 S/W를 가르킴. 일종의 길잡이로서

dsaint31.tistory.com

https://puzzle-puzzle.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9A%A9%EC%96%B4-%EA%B2%8C%EC%9D%B4%ED%8A%B8%EC%9B%A8%EC%9D%B4-Gateway-%EA%B2%8C%EC%9D%B4%ED%8A%B8%EC%9B%A8%EC%9D%B4%EC%99%80-%EB%9D%BC%EC%9A%B0%ED%84%B0-%EC%B0%A8%EC%9D%B4%EC%A0%90?category=817648

 

[네트워크 용어] 게이트웨이(Gateway), 게이트웨이와 라우터 차이점

저는 게이트웨이와 라우터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정리하면서 확실히 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게이트웨이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라

puzzle-puzzle.tistory.com

 

'Computer > 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 Tree vs. Graph  (0) 2023.02.20
[CE] Subnet Mask  (1) 2023.01.17
[CE] Router  (0) 2023.01.17
[CE] Interrupt 요약 (Computer 기준).  (0) 2023.01.17
[CE] Direct Access Storage Device & media (DASD)  (0) 2023.01.13
'Computer/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E] Tree vs. Graph
  • [CE] Subnet Mask
  • [CE] Router
  • [CE] Interrupt 요약 (Computer 기준).
dsaint31x
dsaint31x
    반응형
    250x250
  • dsaint31x
    Dsaint31's blog
    dsaint31x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71)
      • Private Life (13)
      • Programming (200)
        • DIP (116)
        • ML (28)
      • Computer (17)
        • CE (53)
        • ETC (33)
        • CUDA (3)
        • Blog, Markdown, Latex (4)
        • Linux (9)
      • ... (363)
        • Signals and Systems (111)
        • Math (175)
        • Linear Algebra (33)
        • Physics (43)
        • 인성세미나 (1)
      • 정리필요. (59)
        • 의료기기의 이해 (6)
        • PET, MRI and so on. (5)
        • PET Study 2009 (1)
        • 방사선 장해방호 (5)
        • 방사선 생물학 (3)
        • 방사선 계측 (9)
        • 기타 방사능관련 (3)
        • 고시 (9)
        • 정리 (18)
      • RI (0)
      • 원자력,방사능 관련법 (2)
  • 블로그 메뉴

    • Math
    • Programming
    • SS
    • DIP
  • 링크

    • Convex Optimization For All
  • 공지사항

    • Test
    • PET Study 2009
    • 기타 방사능관련.
  • 인기 글

  • 태그

    SS
    인허가제도
    random
    Probability
    DIP
    linear algebra
    Term
    signal_and_system
    SIGNAL
    signals_and_systems
    function
    Python
    Convolution
    opencv
    cv2
    numpy
    Vector
    math
    Programming
    fourier transform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dsaint31x
[CE] Gateway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