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 Introduction of WSL

2022. 12. 22. 13:43·Programming
728x90
728x90

Windows Subsystem for Linux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Windows OS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개발자가

GNU/Linux용 Software 혹은 개발툴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opensource의 강력함 때문에 linux를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함.

  • Virtual Machine S/W를 이용하여 Host의 Windows OS에서 가상 GNU/Linux 장비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
    (이 경우, 모든 HW를 virtualization 하므로 overhead가 큼.)
  • Dual Booting을 통해, 한 장비에 Windows OS와 GNU/Linux를 설치.
    (각 OS를 사용하려면 다시 부팅시켜야 함. 정말 귀찮다)
  • GNU/Linux 에뮬레이터를 이용
    (Linux용 SW를 다시 컴파일해야 함. 쉽지 않고 무지무지 피곤한 일임.)

WSL은 위의 기존의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여,

  • 대부분의 CLI or GUI based tool, utility, application을 포함하는 GNU/Linux 환경을 재컴파일등의 과정 없이 Windows에서 직접 실행가능하게 해 줌.
  • 또한 Windows OS의 다른 application을 사용하면서 GNU/Linux 환경도 사용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임.

 

특히 WSL2는

  • Windows에서ELF64 Linux Binary code을 실행할 수 있게 해 주면서
  • 기존의 WSL1과 동일한 사용자 환경을 유지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특히 파일 시스템)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 호출 호환성을 향상함.

 

더보기

ELF(Executable and Linkable Format)

Linux와 Unix의 실행 파일, 오브젝트 파일, 공유 라이브러리와 코어 덤프를 위한 표준 파일 포맷을 가르킴.

더구나 GPU지원까지를 해주면서...
내 경우, 특히 컴퓨터에서는 mac으로 갈 수 없게 발목을 잡은 녀석임.

 

 


WSL 설치하기

2023.06.12 - [Programming] - [WSL] Install WSL

 

[WSL] Install WSL

Pre-requirements. windows 10 이상 : ( version 2004 , build 19041 이상이어야 함.) windows 11 권장 : ( gpu 기능 등 가능 ... ) windows키 + R 누르고 winver 입력 버전 등을 확인하고 확인 클릭 Install WSL. cmd or wt를 관리자

dsaint31.tistory.com


같이 읽어보면 좋은 자료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about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란?

다양한 버전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에 대해 알아봅니다.

learn.microsoft.com

https://junsoolee.gitbook.io/linux-insides-ko/summary/theory/linux-theory-2

 

Elf64 - linux-insides-ko

ELF(Executable and Linkable Format)는 실행 파일, 오브젝트 파일, 공유 라이브러리와 코어 덤프를 위한 표준 파일 포맷입니다. 리눅스와 많은 유닉스 운영체제가 이 포맷을 사용합니다. 리눅스 커널 소스

junsoolee.gitbook.io

https://dsaint31.me/mkdocs_site/CE/ch08/ce08_compiler_interpreter/#binary-code

 

BME228

Compiler Language and Interpreter Language Compiler Language Compiler(High-level language를 machine language로 번역)를 사용하는 고급 언어. 프로그램 전체를 읽어들여 이를 object code(목적코드)로 바꿈. Compiler 능력에 따

dsaint31.me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ing] Library vs. Framework  (0) 2023.01.18
[PyQt6] Install PyQt6 on Windows  (2) 2023.01.03
openCV : cv2.waitKey bug  (1) 2022.10.21
[NumPy] sorting: 정렬  (1) 2022.09.10
Paradigm (패러다임)  (0) 2022.07.21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rogramming] Library vs. Framework
  • [PyQt6] Install PyQt6 on Windows
  • openCV : cv2.waitKey bug
  • [NumPy] sorting: 정렬
dsaint31x
dsaint31x
    반응형
    250x250
  • dsaint31x
    Dsaint31's blog
    dsaint31x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39)
      • Private Life (13)
      • Programming (56)
        • DIP (104)
        • ML (26)
      • Computer (119)
        • CE (53)
        • ETC (33)
        • CUDA (3)
        • Blog, Markdown, Latex (4)
        • Linux (9)
      • ... (350)
        • Signals and Systems (103)
        • Math (171)
        • Linear Algebra (33)
        • Physics (42)
        • 인성세미나 (1)
      • 정리필요. (54)
        • 의료기기의 이해 (6)
        • PET, MRI and so on. (1)
        • PET Study 2009 (1)
        • 방사선 장해방호 (4)
        • 방사선 생물학 (3)
        • 방사선 계측 (9)
        • 기타 방사능관련 (3)
        • 고시 (9)
        • 정리 (18)
      • RI (0)
      • 원자력,방사능 관련법 (2)
  • 블로그 메뉴

    • Math
    • Programming
    • SS
    • DIP
  • 링크

    • Convex Optimization For All
  • 공지사항

    • Test
    • PET Study 2009
    • 기타 방사능관련.
  • 인기 글

  • 태그

    random
    function
    Convolution
    SS
    Programming
    math
    numpy
    signal_and_system
    Optimization
    검사
    opencv
    Python
    Term
    Vector
    SIGNAL
    인허가제도
    linear algebra
    Probability
    signals_and_systems
    fourier transform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dsaint31x
[CE] Introduction of WSL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